- 의사소통능력(Communication ability)
- 소통능력을 통한 문서이해능력, 문서작성능력, 경청능력, 의사표현능력, 외국어능력 향상과 개념을 학습하고 직장생활에서 문서를 읽고 말하는 능력을 학습한다.
- 인성과 소통(Personality and Communication)
- 학생들 간에 그룹을 형성하여 다양한 활동과 소통을 통하여 올바른 인성함양과 바람직한 대학생활을 적응해나갈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.
- 토익기초(TOEIC foundation)
- 토익 준비를 위한 토익 어휘와 기초 문법, 일상생활영어 및 비즈니스 영어에 대한 듣기 훈련을 통하여 토익의 기초를 학습한다.
- 건강과 생활체육(Health and living sports)
- 생활체육으로 여가와 레크리에이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게임과 레크리에이션을 통해 단체생활에 있어서 협동의식 배양과 건강한 대학생활 영위, 건전한 여가생활 습득, 건강한 운동습관을 가질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.
- 사회봉사 1・2(Social service 1・2)
- 사회봉사 활동을 통하여 소외계층의 신체적・정신적 어려움을 함께 경험함으로써 소외계층을 이해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만드는데 사회봉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한다.
- 인성과 멘토링(Personality Mentoring)
- 긍정심리학의 성격 강점을 바탕으로 개인 및 대인관계발달, 학업발달, 진로발달 영역에서 인성 멘토링을 통해서 성취해야 할 내용과 각 영역마다 해당 강점을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을 진행한다.
- 토익활용(Use of TOEIC)
- 토익 시험 준비를 위한 어휘와 문법을 기반으로 영어독해 및 비즈니스 영어 듣기 훈련의 학습을 통해서 방사선사로서 토익점수를 확보하고 대형병원 취업준비를 한다.
- 대인관계능력(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)
- 방사선사로서 임상에서 필요한 협조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조직구성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으며, 조직내부 및 외부의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고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.
- 자기관리와 진로설계(Self-management and career design)
- 임상에서 선호하는 인재상, 채용동향을 분석하여 취업을 위한 이력서, 자기소개서, 면접, 임상 예절 및 대학생의 시간관리 전략 등에 대하여 학습함으로써 자기관리 및 취업을 준비한다.
- 정보능력(Intelligence Capability)
- 업무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, 이를 분석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찾아내며 업무수행에 적절하도록 조직하고, 정보 관리, 업무수행에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를 활용하는 능력을 학습한다.
- 방사선학개론실습(Introduction to Radiology )
- 방사선학의 기본지식과 인성을 갖춤으로써 의료기관 및 취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보건의료인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인격과 소양, 그리고 봉사정신을 배양하도록 한다.
- 해부학(Anatomy)
- 인체의 해부학적구조와 기능 등을 정상상태에서 상세히 교수함으로써 방사선 및 기타 영상의 정상 및 이상 상태를 구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.
- 생리학(Human Physiology)
- 인체내의 모든 기관, 조직 기능에 관한 원리 및 기능과 구조와의 관련성을 이해시키도록 교수함과 동시에 각 기관별 정상상태 뿐 아니라 이상상태 등을 슬라이드나 보조재료를 통해 설명하여 정확한 이해를 터득하도록 한다. 한편 병태 생리도 교수하여 보건의료인으로서 필요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게 한다.
- 의학용어(Medical Terminology )
- 의학 및 보건과학을 전공하기 위해 알아야 할 해부, 생리, 병리 등 기초의학에 관련한 의학 용어를 구조적으로 접근하여 이해하도록 하며, 이를 토대로 질병의 증상, 병리적 상태, 진단, 임상처치 등의 이해를 돕도록 한다. 또한 질병 발생의 원인 경과 등 병리학에 관한 기초지식을 함양 하도록 하고 학술 용어를 숙지하도록 하여 방사선 업무 수행에 필요한 소양을 갖추게 한다.
- 방사선기기학(Radiographic Machinery)
- 방사선 진단 장치의 전기적, 기계적 원리를 정류방식, 각종 부분회로 해석, X-ray-TV 영상회로, 고장대책, 영상장치, KSA 규격 등을 강의하여 장치의 원활한 사용과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.
- 방사선물리학(Radiation Physics)
- 방사선 진단, 치료 및 핵의학 분야에 관한 물리학적 기본 이론을 습득하여 방사선 의학을 올바로 이해하도록 한다. 주요 내용으로는 물질과 방사선과의 상호작용을 다루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물질의 구조와 더불어 방사선의 생성 원리를 다룬다.
- 방사선치료학(Radiation therapy )
- 악성종양 및 양성종양에 대하여 외부방사선치료와 근접방사선치료를 실시하는데 필요한 여러가지 지식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방사선치료장치 QA에 필요한 여러 가지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학습한다.
- 방사선치료학실습(Radiation Therapy Practice)
- 방사선치료계획수립, RTP실 운영, 종양치료에 대한 계획이 수립에 대하여 학습한다.,방사선치료에 따른 종양선량을 조사하고 공간적 선량분포를 이용하여 병소에 조사방법을 이해하며 체강내 병소부위치료에 대하여 학습한다.
- 핵의학기술학 Ⅰ・Ⅱ(Nuclear Medicine Technology Ⅰ・Ⅱ)
- 방사성 의약품의 제조와 정도관리, 감마카메라, PET/CT 등의 핵의학 영상장치의 원리와 사용 방법 그리고 정도관리를 이해하고, 이들을 응용하여 인체의 해부학적, 생리학적 상태를 영상화하여 질환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기술을 이해한다.
- 핵의학기술실습(Nuclear Medicine Technology Practice)
- 방사선의약품의 제조 방법과 감마카메라나 PET/CT 등의 핵의학 영상장치를 통하여 진단 자료를 수집하는 기술, 핵의학 검사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케어 방법 등을 실습을 통하여 습득한다. 그리고 다양한 검사 사례를 통하여 그 결과를 해석하고 발견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최적의 핵의학검사 기술을 습득한다.
- 컴퓨터단층영상학(Computed Tomography )
- 인체를 360˚ 회전하여 횡단면을 얻는 CT장치의 기본구성, 영상획득, 영상처리, 획득 영상의 특징 및 artifact 등을 학습하여 임상진단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.
- 방사선영상정보학(Radiation Imaging Interpretation)
- X-선과 인체를 구성하는 조직의 원자와의 상호작용, X-선 영상을 형성하는 기본 인자, 촬영조건, 화질에 대한 영상평가, 진단에 적합한 영상의 이해 및 진단에 적합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설정조건의 기초를 학습한다.
- 방사선물리학(Radiation Physics)
- 방사선 진단, 치료 및 핵의학 분야에 관한 물리학적 기본 이론을 습득하여 방사선 의학을 올바로 이해하도록 한다. 주요 내용으로는 물질과 방사선과의 상호작용을 다루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물질의 구조와 더불어 방사선의 생성 원리를 다룬다.
- 전기전자공학(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)
- 원자구조, X-선관에서 열전자를 발생시키는 주울의 법칙, 자기장이론, X-선 발생의 기초가 되는 쿨롱의 법칙, X-선기기에 사용되는 공진현상, 변압기, 다이오드 등에 대한 학습을 한다.
- 두개부사지영상검사실습(Skull limb imaging scans Practice)
- 인체의 두뇌부, 상지, 하지의 각 부위별 촬영 위치와 촬영 방법을 이해 및 숙지하도록 교수한다.
- 공중보건학(Public Health)
- 보건 및 의료분야 전문인을 양성함에 있어 질병과 보건위생, 환경위생등 보건학적 측면의 지식과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교수한다
- 의료영상정보학실습(Medical image information practice )
- X선과 인체를 구성하는 조직과 원자와의 상호작용 및 X-선 영상을 형성하는 기본 인자, 촬영조건 및 화질에 대한 영상평가, 진단에 적합한 의료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조건 설정, 진단용 방사선발생장치, 초음파, CT, MRI 등 최첨단 의료장비의 특성 및 원리와 영상정보에 대하여 학습한다.
- 자기공명영상학(Magnetic Resonance Imaging)
- MRI는 자석의 원리를 응용한 최신의료 영상장치로서 물리적 이론 및 장치에 대한 기초이론을 습득하고, 다양한 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암 및 희귀질환의 진단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 배양에 목적을 둔다.
- 초음파영상학(Ultrasonic imaging)
- 진단 초음파 검사의 기본 물리학의 습득과 영상 처리의 과정의 이해, 장비의 기본 구성과 기능의 이해, 진단장비의 효율적 사용과 선택, 임상에서의 판독상 오류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한다.
- PACS영상정보학(PACS imaging informatics )
- CR, DR 등의 디지털의료영상자비에서 획득한 의료영상을 이해하고, 영상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영상처리기술, 의학영상을 공통 포맷으로 저장하고 전송하는 PACS 및 DICOM에 대하여 학습한다.
- 방사선계측학(Radiographic Calculation)
- 방사선 발생장치나 방사선동위원소로부터 발생하는 전리방사선 및 환경 방사선의 양을 측정하는 이론적 배경과 그 원리를 이해한다. 전리조를 비롯한 주요 방사선계측장치의 작동원리 및 사용 방법을 이해함으로써 이들 장비들을 진단, 치료 및 방사선 관리 등의 실무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.
- 방사선계측학실습(Radiographic Calculation Practice)
- 전리방사선 및 환경 방사선의 선량을 측정하는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공기전리조를 비롯한 실무에서 주요 다루는 다양한 방사선 계측장치의 사용 방법을 연습한다. 그리고 방사선 발생장치와 방사선 동위원소 및 자연 방사선의 조사선량과 흡수 선량 및 피폭선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습득하여 진단 방사선, 치료방사선, 핵의학 분야의 방사선 관련업무 등의 방사선 계측 실무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.
- 디지털의료영상기기실습(Digital medical image equipment practice )
- 영상증배관, 촬상관 및 CRT로 구성되는 X-선 텔레비전 시스템을 학습하고, CR, DR, 투시 X-선장치, CT장치 및 관련 영상을 학습한다.
- 흉복부영상학검사실습(Chest abdominal imaging scans practice)
- 흉부촬영에 있어서 최상의 흉부영상을 나타내기 위한 촬영법 촬영기술의 숙달 및 숙지를 하도록 교수한다. 그리고 복부에 형성되어 있는 각종 장기의 촬영법 및 원리 촬영 기술을 습득하여 임상에 응용 활용토록 한다.
- 방사선생물학(Radiation Biology)
- 방사선의 인체에 대한 직접 및 간접영향을 교수하여 방사선이 조사되는 생체에 대한 여러 가지 현상을 파악해 함으로써 인체와 방사선과의 관계를 이해시킨다.
- 방사선치료학실습(Radiation Therapy Practice )
- 임상방사선 치료실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자고정 보조재료 제작, 차폐물제작, 차트작성, 선량계획, Mix-Dp 제작, 보루스 이용 등 치료업무를 실험, 실습으로 실행함으로써 암환자를 치료하는데 정확한 방사선 치료가 되도록 실기를 숙지시킨다.
- 임상실습 Ⅰ・Ⅱ(Clinical Practice Ⅰ・Ⅱ)
- 학교에서 습득한 방사선 관련 지식을 직접 임상병원에서 실무자의 지도아래 실습하고, 환자와의 직접 접촉을 통해 방사선 검사 시 환자를 사랑으로 대할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갖도록 지도한다.
- 보건의료법규(The Law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)
- 보건 의료관계 법률지식함양과 의료기사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의료요원으로서의 사명감을 고취한다.
- 방사선관리학(Radiation Management )
- 방사선의 기본이론에 입각하여 방사선의 취급과 관리를 잘 이행할 수 있도록 교수하여 방사선의 피폭을 가능한 줄이고 방사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그 방법과 기술을 습득시킨다.
- 근골격계초음파영상실습(Musculoskeletal ultrasound imaging practice)
- 초음파영상학 이론교육의 이해 및 근골격계 영상취득방법을 실습을 통하여 실무에 대응토록 한다.
- 심장초음파영상실습(Cardiac ultrasound imaging practice)
- 초음파영상학 이론교육의 이해 및 심장초음파 영상취득방법을 실습을 통하여 실무에 대응토록 한다.
- 의료영상평가실습(Medical Image Evaluation Practice )
- X-선 의료영상에 대한 MTF 곡선을 이해하여 선예도, 해상력을 학습하고, 영상 내의 해부학적 명칭, 각종 artifact 및 영상의 특징 등에 대한 학습을 한다.
- 의료영상판독실습(Medical image reading practice)
- 의료영상의 해부학적 지식, 의료영상평가기준, 환자의 병소를 찾아내기 위한 최적의 영상획득기준, 의료영상에서 병소위치추적 및 병명확인 등에 대한 학습을 한다.
- 원자력법령 및 방사선안전관리 마케팅 창업(Nuclear Act and Radiation Safety Management Marketing)
- 원자력법령과 방사선안전관리를 학습하여 방사선동위원소 자격준비를 하고, 더불어 장래 직업에 대한 이해와 그에 필요한 준비가 무엇인지 목표를 세우고 실천을 위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.
- 의학영상해부학(Medical image anatomy )
- 방사선검사에 필요한 의료영상해부학, 방사선 관련 검사시 환자에 대한 정보, 전처치, 방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며 영상획득시 영상 분석 능력을 학습한다.
- 치과방사선 및 비전리 방사선(Dental clinic and Specific ionization radiation)
- 치과촬영용 DR, CR 영상장치의 특징과 환자응대 매뉴얼 숙지, 촬영장치의 부속기자재 점검, 환자 검사의뢰서 확인, 환자응대 매뉴얼 확인, 영상처리 및 소모품 정리에 대한 학습을 한다.
- 임상영상해부학실습(Clinical Imaging Analysis Practice)
- X-ray, MRI, CT, 초음파 등 진단용 의료장비에서 획득한 의료영상을 이용하여 인체의 구조, 기관과 장기의 해부학적 위치, 영상평가와 해부학적 영상의학의 기초를 학습한다.
- 의료영상처리실습(Image processing Practice )
- 획득된 영상에 대하여 좀 더 정확한 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잡음제거, 선예도 향상, 해상력 향상 및 영상 대조도 증가, 영상 간 데이터 연산 등 여러 가지 영상처리기법을 실습한다.
- 투시조영영상학검사실습(Fluoroscopy imaging scans practice)
- 투시조영검사 전반에 관한 복부장기의 해부학적 구조, RF 진단기를 이용한 투시촬영장치 점검, 환자응대 매뉴얼, 조영제 복용법, 자세 및 부위별 촬영법에 대하여 학습한다.
- 혈관영상학 및 중재적검사(Vascular imaging and interventional examination )
- 혈관조영 촬영학에서 X-선 영상의 변화와 각 부위별 촬영 및 투시를 포함한 조영검사 과정과 특수촬영의 원리를 이해하고, 혈관조영 촬영법의 목적과 과정을 익히고 촬영 중에 다양하게 변화되는 해부학적 명칭과 영상을 학습한다.
- 방사선장해방어학(Radiation field liberation language)
- 방사선의 기본 개념, 영향 및 피폭선량의 구분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, 방사선 방호의 내용과 절차를 학습한다.